문제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64065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[ 문제 설명 ]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-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-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-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-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 제한사항 ]
-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-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-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[ 입출력 예 ]
s | result |
"{{2},{2,1},{2,1,3},{2,1,3,4}}" | [2, 1, 3, 4] |
"{{1,2,3},{2,1},{1,2,4,3},{2}}" | [2, 1, 3, 4] |
"{{20,111},{111}}" | [111, 20] |
"{{123}}" | [123] |
"{{4,2,3},{3},{2,3,4,1},{2,3}}" | [3, 2, 4, 1] |
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입출력 예 #1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3
(111, 20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11}, {111,20}}이 되며, 이는 {{20,111},{111}}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4
(123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23}} 입니다.
입출력 예 #5
(3, 2, 4, 1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3},{3,2},{3,2,4},{3,2,4,1}}이 되며, 이는 {{4,2,3},{3},{2,3,4,1},{2,3}}과 같습니다.
풀이
// 프로그래머스 - 튜플(Lv.2)
function solution(s) {
// 맨앞과 맨뒤의 {{, }}를 제거하고 },{ 기준으로 자르기
let list = s.replace("{{", "").replace("}}", "").split("},{");
// 집합 내 원소 / , 기준으로 자르기
let tuples = [];
for (let i = 0; i < list.length; i++) {
tuples.push(list[i].split(","));
}
// 원소의 개수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
tuples.sort((o1, o2) => {
if (o1.length > o2.length) {
return 1;
} else {
return -1;
}
});
let answer = [];
// 중복제거를 위한
const set = new Set();
// 배열을 돌면서 answer에 push
for (let tuple of tuples) {
for (let v of tuple) {
if (!set.has(v)) {
set.add(v);
// 문자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로 변환
answer.push(parseInt(v));
}
}
}
return answer;
}
문제 이해하는 데에 시간이 좀 걸렸다... 코드를 좀 더 간결하게 짠 분들도 많았는데, 내가 나중에 봐도 이해할 수 있게끔 풀고 싶어서 이렇게 코드를 작성해봤다.
참고한 솔루션
[프로그래머스] 튜플 JS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(a1, a2,
velog.io
[프로그래머스]튜플--javascript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(a1, a2,
velog.io
'Programming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/JavaScript] 게임 맵 최단거리(Lv.2) (0) | 2024.05.16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/JavaScript]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(Lv.2) (0) | 2024.05.08 |
[Javascript] 함수 function (0) | 2021.04.26 |
[Javascript] 반복문: while, for, break, continue (0) | 2021.03.15 |
[Javascript] true와 false의 대체 (0) | 2021.03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