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* 함수 정의 형식
function 함수명([인자...[,인자]]){
실행코드
return 반환값;
}
예)
function numbering(){ //함수의 정의
i=0;
while(i<10){
document.write(i);
i+=1;
}
}
numbering(); //함수 호출
인자(파라미터)를 넘겨줄 때
function get_org(a1, a2){
return a1+a2;
}
alert(get_org(10, 20));
+) 함수를 정의하는 다른 방법
const 함수명 = funciton([인자...[,인자]]){
실행코드
return 반환값;
}
+) 화살표 함수 / 많이 사용하는 방식
const 함수명 = ([인자...[,인자]) => {
실행코드
return 반환값;
}
+) 익명함수: 이름이 없고 정의&호출 동시에 하는 함수
(function(){ //함수 정의
실행코드
})(); //호출
// 화살표 함수로
(() => { //함수 정의
실행코드
})(); //호출
728x90
'Programming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/JavaScript]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(Lv.2) (0) | 2024.05.08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/JavaScript] 튜플(Lv.2) 문제 풀이 (0) | 2024.05.02 |
[Javascript] 반복문: while, for, break, continue (0) | 2021.03.15 |
[Javascript] true와 false의 대체 (0) | 2021.03.15 |
[Javascript] 논리연산자 (0) | 2021.03.15 |